벡터4 Q_02_10. 벡터 - 빈도수 구하기 - table(벡터) R에서 벡터의 각 값이 나타나는 빈도를 구하려면 table()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는 벡터의 고유 값에 대한 빈도수를 계산해 주며, 매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예제 벡터vec 위 코드를 실행하면 vec 벡터에 있는 각 고유 값의 빈도수를 반환합니다.결과 예시vec1 2 3 4 1 2 3 4 이 결과는 vec 벡터에서 숫자 1은 1번, 2는 2번, 3은 3번, 4는 4번 등장했음을 보여줍니다.table() 함수는 벡터의 값을 기준으로 빈도표를 쉽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데이터 탐색 과정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2025. 5. 2. Q_02_06. 벡터 정렬하기와 순위매기기 R에서 벡터를 정렬하려면 sort()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함수는 벡터의 요소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줍니다.1. 오름차순 정렬기본적으로 sort() 함수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vector 2. 내림차순 정렬내림차순으로 정렬하려면 decreasing = TRUE 옵션을 사용합니다.sorted_vector_desc 3. 결측값을 포함한 정렬벡터에 결측값(NA)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na.last 옵션을 사용하여 결측값을 마지막에 배치할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vector_with_na 결측값을 처음에 배치하려면 na.last = FALSE로 설정합니다.sorted_vector_na_first 4. 순서만 반환하기 (order() 함수) order() 함수를 사용하면 실제 값이 .. 2025. 5. 2. Q_02_11. 벡터에서 조건에 따라 값 변경하기 R에서 벡터의 값을 조건에 따라 변경하려면 ifelse() 함수나 벡터 서브셋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각각의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1. ifelse() 함수 사용하기 ifelse() 함수는 주어진 조건이 참일 때와 거짓일 때의 값을 각각 반환하여 벡터의 값을 변경하는 데 유용합니다. ``` # 예제 벡터 vec # vec의 값이 3보다 크면 10으로, 그렇지 않으면 0으로 변경 result 3, 10, 0) print(result) ``` 결과 ``` [1] 0 0 0 10 10 ``` ### 2. 서브셋팅을 이용한 값 변경 벡터 서브셋팅을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의 값을 직접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 예제 벡터 vec # vec에서 값이 3보다 큰 요소를 10으로.. 2025. 5. 2. Q_02_09. 벡터 - 기술통계량 구하기 벡터의 통계량 구하기 벡터에 대하여 각종 함수를 이용하여 통계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벡터에 사용되는 함수는 행렬과 배열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최빈값을 나타내는 mode 는 벡터의 속성을 구하는 함수로 사용되며, 최빈값을 구할 수 없습니다. 함수명 기능sum(vec01) 합계구하기mean(vec01) 평균구하기vec01-mean(vec01) 평균과의 차이구하기median(vec01) 중앙값 구하기min(vec01) 최소값 구하기max(vec01) 최대값 구하기sd(vec01) 표준편차 구하기v.. 2025. 4. 28. 이전 1 다음